W3C에서 HTML5를 공식 표준 권고안으로 확정 발표했다. 이미 오래 전부터 HTML5가 표준으로 자리잡을 거라는 건 확실시 돼 온 사실이었기 때문에, 이번 발표가 크게 놀랍거나 하진 않았다. 그저 당연히 올 게 왔다는 느낌. 아무래도 표준안이 딱 발표됐으니, 이젠 표준을 충실히 구현하는 것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는 의미는 있다.
세계적으로 HTML5를 기반으로 한 '웹 표준 지키기'는 이미 예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 핫 이슈였지만, 한국에서는 딱히 큰 관심을 끌지 못했다. 물론 많은 웹 개발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기는 하지만, 국내 인터넷 환경 때문에 웹 표준을 지켜서 사이트를 만들기란 현실적으로 좀 어렵기 때문이다. 가장 문제는 아무래도 액티브액스(ActiveX).
물론 액티브액스가 모두 걷어내진다고 해서 국내 사이트들이 웹 표준을 잘 지키는 방향으로 나갈 거라곤 생각지 않는다. 특유의 빨리빨리 갈아넣어 어떻게든 만들어내기 문화(?)가 있기 때문에, 좀 큰 사이트는 결국엔 걸레화 돼서 그냥저냥 돌아가게만 만들어질 테니까. 그래도 웹 표준을 지키려면 지킬 수는 있게끔, 액티브액스가 완전히 사라져야 한다는 것은 중요한 문제다. 지금은 웹 표준을 지키려고해도 지킬 수가 없으니까.
어쨌든 HTML5가 표준 권고안으로 발표된 이 상황에서도 현업에선 사이트를 IE7에 맞춰서 만들고 있는 상황. IE7만 맞춰서 만들면 그나마 나은데, IE8, IE9, IE10, IE11 이런 것들을 다 일일이 맞춰줘야하니, 가끔씩 일 한 번 터지면 머리가 깨질 지경. 게다가 요즘은 구글 크롬을 조금씩 쓰면서, 이것도 맞춰줘야 하는 상황. 정말 골치아프다.
IE도 좀 파이어폭스나 크롬처럼 수시로 자동 업데이트 되도록 만들어 놓으면 좋으련만. 지금 상황에선 IE는 정말 웹 개발자의 공공의 적이다.
참고로 KISA 한국인터넷진흥원 통계를 보면,
2014년 상반기에 한국에서 사용하는 PC용 브라우저의 88%는 IE. 크롬(Chrome)이 10%를 조금 넘는 수준이다. 파이어폭스(Firefox)는 아직 1%가 안 되는 수준.
따라서 아직도 한국에선 '인터넷 브라우저'하면, IE(internet Explorer)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현실.
전체 인터넷 브라우저 사용 현황 중에서 IE 8 사용률이 거의 30%.
IE 7도 4.5%, IE 6도 1% 정도 사용되고 있다. 즉, IE 9 이하 버전 사용률이 50%라는 것.
이 그래프는 IE 사용률 중에서가 아니라, 전체 브라우저 사용률 중에서 비율이다.
즉, 전체(크롬, 파이어폭스 등 다 포함한) 사용률 중에서 IE9 이하 버전 사용률이 50%라는 사실.
이걸 보고 있으니 좀 갑갑하기도 하고, 한국이 인터넷 갈라파고스 같기도 하고...
p.s.
* W3C Recommendation 28 October 2014:
http://www.w3.org/TR/2014/REC-html5-20141028/
* Korea HTML5:
http://www.koreahtml5.kr/
(잘 접속 안 되는 경우가 있음)
웹 개발자뿐 아니라 이거때매 피해보는 사람 꽤 많죠. 특히 시각장애인 등등의 장애인들은 ActiveX를 사용하는게 거의 불가능해서 피해보고 있고, 외국인들도 ActiveX 결제 안되서 온라인구매를 못하니 피해보고 있고... 결국 인터넷시장 전체의 경쟁력과 수익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죠.
공무원들 브라우저부터 업데이트했음 좋겠어요.. IE만 쓴다해도 11까지 나온마당에 7,8,9.. 아직도 쓰는 공무원들이 많으니 그 기준에 맞춰줘야하고 그러면 HTML5를 활용못하게돼고 개발자들도 기술적으로 활용을 못하니 도태되는거 같고 그러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