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동남아 2008
루앙프라방, 푸씨 - 2008 동남아 삽질 여행 42
빈꿈
2009. 1. 1. 19:14
2008 동남아 삽질 여행 42
루앙프라방, 푸씨
루앙프라방은 메콩강 옆에 위치한 평지의 작은 마을인데, 시내에는 그나마 산 같은 형체의 나즈막한 언덕이 하나 있다. 루앙프라방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 이 언덕 꼭대기에는 황금색 탑 쫌씨(Chomsi)가 있어서, 이 언덕을 쫌씨 힐(chomsi hill)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언덕이 바로 푸씨(Phou Si).
언덕 꼭대기에 올라가면 루앙프라방을 한 눈에 내려다 볼 수 있고, 석양 또한 아름답다고 소문이 나 있기 때문에 비싼 입장료를 내고도 한 번 즘은 올라가 보는 곳이다. 산이라고 하기엔 너무 낮지만, 그래도 꼭대기까지는 328개의 계단을 걸어 올라가야 하는 적당한 산책 코스라 볼 수 있다.
푸씨를 오르는 계단. 씨싸왕웡 거리에서 올라가는 초입에는 많은 상인들이 나와 꽃을 팔고 있다. 불단에 꽃을 바치는 것이 관례이기 때문.
꽃이나 악세사리를 사라고 부르는 상인들을 멋쩍은 웃음으로 지나치면, 그 다음부터는 고독한(?) 산행.
조금 올라가면 입장료 내는 곳이 보인다. 입장료는 20,000 낍 (2달러 조금 넘음). 여기 말고도 두 군데인가 다른 입구가 더 있다.
한 서양인 노부부는 사원은 안 볼거고, 산에 올라가서 석양만 볼 거라며 입장료 안 내겠다고 버텼는데, 그 말이 통할 리가 없다. 그렇게 치면 사원 보려고 올라가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 열심히 흥정을 했지만 결국 에누리 없이 일인당 이만 낍을 내야만 했다.
평소 운동 안 하신 분들이라면 조금 힘들 듯. 하지만 이 정도 계단은 시작일 뿐.
입장료 내고 또 한참 더 올라가야 한다. 입장료가 아깝다면, 입장료 내는 곳에서 석양을 바라봐도 나름 괜찮은 풍경이 보인다. 어제 봤는데 또 입장료 내고 올라가기 싫은 경우는 입장료 내는 곳 까지만 올라서 석양을 봐도 괜찮을 듯. 그럴 때는 씨싸왕웡 쪽 입구보다는, 그 반대쪽 입구가 더 낫지 않을까 싶다.
여기가 푸씨 정상. 산 꼭대기에는 조그만 불당 하나와 탑 하나가 있고, 그 주변에 쉴 수 있는 계단이 있다. 대부분의 관광객들은 석양을 보러 올라오는데, 현지인들은 불당이 주 목적인 사람들도 많았다.
불당 옆에 버려진 채 방치되어 있는 포탑은 아이들의 놀이터로 활용되고 있었다.
작은 불당 안에서 한 프랑스인 할머니가 꽃을 바치고 나름 예의를 갖추고 있다. 동남아를 돌다보면, 불상 앞에서 합장을 하고 고개를 숙인다거나, 절을 하는 서양인들도 요즘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좀 아는 사람들은 사원 안에 들어가기 전 입구에서 합장하고 예를 갖추기도 한다.
하지만 대체로 그들이 생각하는 불교는 동양인들이 종교로 믿는 불교와는 많이 틀리다. 그들은 불교(부디즘, buddhism)을 하나의 사상(-ism)이나 철학으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다. 사원에서 예를 갖추는 것도, 요가 센터의 큰 스승에게 예를 갖추는 그런 의미에서의 행위라고 이해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불론, 그 중에는 종교로써 이해하는 서양인들도 있긴 있다.
루앙프라방 시내 반대편 쪽 방향. 이런 경치에서 석양이 진다면 볼 만 할 듯.
불당 근처 계단에서 사람들이 앉아서 쉬고 있다. 사실 쉬고 있다기보다는 석양을 기다리고 있는 모습이다. 아직 하늘이 파랗고, 해가 지려면 거의 두 시간이나 더 기다려야 하지만 그들은 기다린다. 아직 석양을 맞이하기엔 너무 이른 시간이라 사람이 별로 없지만, 시간 되면 이 공간이 꽉 들어찰 정도로 사람들이 올라온다고 한다. 나는 석양은 기다리기 지루해서 안 보고 그냥 내려왔다.
탑과 불당 사이에 나 있는 조그만 통로를 통해서 산 반대쪽으로 넘어갈 수 있다.
불당 안에서 현지인들의 모습. 라오스인들은 석양보다는 불당에 더 목적으로 두고 올라오는 사람들도 많다. 물론 그들도 겸사겸사 불당에서 기도도 하고, 석양도 보고 그러는 사람들이 많지만, 일부 사람들은 기도만 올리고 바로 내려간다.
루앙프라방은 위에서 내려다봐도 조용한 동네.
씨싸왕웡 쪽에서 올라가서, 산 반대편으로 내려가면 불상들이 쭉 놓여져 있는 곳으로 갈 수 있다. 부다의 여러가지 모습들을 형상화 해 놓은 것인데, 살아있을 때 그가 했던 주요한 행동들을 상징적으로 표현 해 놓은 것이다. 라고 독일인 단체여행자들을 이끄는 가이드가 말 하더이다. ㅡㅅㅡ;
라가는 머리가 일곱 개 달린 상상의 동물인데, 이것도 라가라고 할 수 있을까. 계단 난간을 장식한 것 보면 이것도 라가가 맞는 것 같은데... 머리가 일곱 개가 아닌 라가는 왠지 좀 어색하다. 그래도 이 라가들은 색깔은 예뻤다.
부다가 살아생전 했던 일들을 요일별로 저렇게 정리해서 형상화 해 놓았다고 한다.
독일인 단체 관광객들. 이 관광객들을 통솔하는 가이드에게 많은 얘기를 들을 수 있었다. 대부분은 못 알아 듣고 그냥 대충. 물론 모르는 척 옆에서 사진 찍는 척 하면서~ 후훗~ ㅡㅅㅡ; 이 산이 부다가 살아있을 때 방문한 적이 있기 때문에 신성하게 여겨지는 곳이란다. 신성한 불상인 파방(Pha Bang)도 그런 이유로 가져 올 수 있었다고.
이렇게만 적어 놓으면, '우와~ 독일어도 하나봐~'이럴까봐 조금 부가설명을 해 보겠다. 고등학교때 제 2 외국어로 독일어를 했었는데, 여행 하면서 독일인 만나면 어설프게 독일어 하면서 그 얘기를 해 준다. 그러면 그 쪽에선 신나서 독일어로 계속 얘기하고, 못 알아들어도 대충 눈치껏 맞장구 쳐 주고 하다보면 조금씩 늘어나는 그런 스트리트 랭귀지 실력이랄까.
어느나라 언어건 조금이라도 할 줄 안다면 여행하면서 서슴없이 그냥 들이대 보시기 바란다. 실전에서 배우는 게 학교에서 배우는 것보다 체계도 없고, 많이 배울 수도 없지만, 그렇게 배운 것은 웬만해선 절대 안 까먹는다는 장점이 있다. 여행하면서 몇마디 주워들은 태국어, 티벳어도 몇 년이 지나도 안 까먹고 기억 할 정도니, 관심 가지고 계속 공부하는 언어라면 더 말 할 필요도 없다.
부다의 발자국이라는데... 비교를 위해서 라이터를 옆에 두고 찍어 봤다. 저 라이터는 특별히 작은 게 아니라, 그냥 일반 라이터다. 이 발자국이 진짜라면, 부다는 엄청난 거인이라는 뜻인데... 아니면 발만 엄청 컸다든지... 커도 너무 큰 것 아닌가. 산 올라가다 미끄러진 발자국이라면 그나마 이해를 하겠지만. 뭔가 좀 석연찮다.
한 쪽 끄트머리에 있는 조용한 장소인데, 저기 서 있는 사람은 개집처럼 생긴(ㅡㅅㅡ;) 저 안에 들어가 보려고 차례를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저 안에는 부처의 발자국이 있다. 여기에 있는 발자국도 엄청 크다.
이제 하산. 부다의 발자국 옆에 라이터 놓고 사진도 찍었으니 불공이 쌓였으리라는 말도 안 되는 흐뭇함을 가지고 하산~ ㅡㅅㅡ/
반대쪽 방향에서 올라가면 혹시나 입장료 안 내도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하시는 분 있다면, 애써 고생하지 마시라고 말 해 드리고 싶다. 이 쪽도 이렇게 입장료 내는 곳이 있다. 물론 방법이 아예 없는 것도 아니지만... 그냥 이만 낍 내고 올라가고 말자.
석양을 못 봐서 뭔가 손해보는 느낌이었지만, 멈춤 없이 그냥 걷고 싶었을 뿐이고~
보통 루앙프라방의 푸씨 올라갔어요~하면, 붉게 지는 노을과 루앙프라방의 야경을 찍어 올려야 정상인데, 그걸 못 해서 조금 아쉽다. 뭐, 노을은 전 세계 어디서나 볼 수 있는 거고, 야경은 불빛만 보일 뿐~이라며 무시하고 지나치기로 하자. (욕심을 버리면 여행이 편해진다. ㅡㅅㅡ/)
어느 한산한 동네 골목으로 내려올 수 있었다. 루앙프라방은 나름 재미있는 골목들도 많은 편. 다만, 골목 안에 있는 개들은 낮선 사람, 특히 외국인들을 심하게 경계하기 때문에 조심해야한다.
루앙프라방, 푸씨
루앙프라방은 메콩강 옆에 위치한 평지의 작은 마을인데, 시내에는 그나마 산 같은 형체의 나즈막한 언덕이 하나 있다. 루앙프라방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 이 언덕 꼭대기에는 황금색 탑 쫌씨(Chomsi)가 있어서, 이 언덕을 쫌씨 힐(chomsi hill)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언덕이 바로 푸씨(Phou Si).
언덕 꼭대기에 올라가면 루앙프라방을 한 눈에 내려다 볼 수 있고, 석양 또한 아름답다고 소문이 나 있기 때문에 비싼 입장료를 내고도 한 번 즘은 올라가 보는 곳이다. 산이라고 하기엔 너무 낮지만, 그래도 꼭대기까지는 328개의 계단을 걸어 올라가야 하는 적당한 산책 코스라 볼 수 있다.
한 서양인 노부부는 사원은 안 볼거고, 산에 올라가서 석양만 볼 거라며 입장료 안 내겠다고 버텼는데, 그 말이 통할 리가 없다. 그렇게 치면 사원 보려고 올라가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 열심히 흥정을 했지만 결국 에누리 없이 일인당 이만 낍을 내야만 했다.
하지만 대체로 그들이 생각하는 불교는 동양인들이 종교로 믿는 불교와는 많이 틀리다. 그들은 불교(부디즘, buddhism)을 하나의 사상(-ism)이나 철학으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다. 사원에서 예를 갖추는 것도, 요가 센터의 큰 스승에게 예를 갖추는 그런 의미에서의 행위라고 이해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불론, 그 중에는 종교로써 이해하는 서양인들도 있긴 있다.
이렇게만 적어 놓으면, '우와~ 독일어도 하나봐~'이럴까봐 조금 부가설명을 해 보겠다. 고등학교때 제 2 외국어로 독일어를 했었는데, 여행 하면서 독일인 만나면 어설프게 독일어 하면서 그 얘기를 해 준다. 그러면 그 쪽에선 신나서 독일어로 계속 얘기하고, 못 알아들어도 대충 눈치껏 맞장구 쳐 주고 하다보면 조금씩 늘어나는 그런 스트리트 랭귀지 실력이랄까.
어느나라 언어건 조금이라도 할 줄 안다면 여행하면서 서슴없이 그냥 들이대 보시기 바란다. 실전에서 배우는 게 학교에서 배우는 것보다 체계도 없고, 많이 배울 수도 없지만, 그렇게 배운 것은 웬만해선 절대 안 까먹는다는 장점이 있다. 여행하면서 몇마디 주워들은 태국어, 티벳어도 몇 년이 지나도 안 까먹고 기억 할 정도니, 관심 가지고 계속 공부하는 언어라면 더 말 할 필요도 없다.
보통 루앙프라방의 푸씨 올라갔어요~하면, 붉게 지는 노을과 루앙프라방의 야경을 찍어 올려야 정상인데, 그걸 못 해서 조금 아쉽다. 뭐, 노을은 전 세계 어디서나 볼 수 있는 거고, 야경은 불빛만 보일 뿐~이라며 무시하고 지나치기로 하자. (욕심을 버리면 여행이 편해진다. ㅡㅅ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