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일기/2011~

개복치 게임, 한국의 광고 수익률이 일본의 50% 정도였다고

빈꿈 2015. 1. 19. 12:49

 

 

 

블로그나 홈페이지 등의 컨텐츠 제작자들에게 그런 말을 들은 건 상당히 오래 전 일이다. '한국의 광고 클릭율이 영어권에 비해서 절반 정도'라는 것.

 

다시 말하지만, '클릭율'이다. 양적으로야 당연히 영어권이 많으니 수익률이 높은 건 당연한 건데, 일정 페이지뷰에 따른 클릭 수 비율을 따지는 클릭율에서도 크게 차이가 난다.

 

클릭율이 저조하다고 하면 얼핏보기엔 '한국사람들 참 클릭 안 한다'라는 생각이 먼저 들 수 있다. 그래서 이런 분석도 있다. 한국 사람들이 인터넷에 너무 익숙해서 광고를 잘 피해간다고.

 

그런데 그게 아닐 수도 있다. 광고의 양 자체가 너무 적어서 클릭 할만 한 광고 자체가 부족한 것일 수도 있다. 즉, 영어권이나 일본은 10 페이지 당 10개의 서로 다른 광고가 나오는데, 한국은 10 페이지 당 5개의 다른 광고가 나온다고 해보자. 그럼 새로운 광고를 모두 클릭한다고 해도, 클릭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한 번 클릭했던 광고를 또 클릭하는 경우는 드물 테니까.

 

개복치 게임 강연 자료를 보면, 광고 수익률은 한국이 일본의 50% 정도 수준인데, 인앱 결재는 비슷한 수치를 보이고 있다. 이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 건지, 아니면 별 연관성이 없는 건지는 아직 알 수 없는 상태.

 

아마도 구글은 알고 있지 않을까 싶은데, 어쨌든 아직 확실히 밝혀진 결과는 없는 상태다. 그리고 광고의 총량이 적어서 그렇다 치더라도 무료 컨텐츠에 대한 도네이션(기부)의 양도 영어권보다는 확실히 적다는 게 중론이기도 하고. 여러모로 한국어로 무료 컨텐츠에 수익을 바란다는 건 좀 힘들지 않을까 싶다.

 

 

개복치 게임 강연 자료 중 한일 수익률 비교 표. 출처: http://appmarketinglabo.net/manbou/

 

 

참고)

* '살아남아라! 개복치' 강연을 정리한 기사 (일어): http://appmarketinglabo.net/manbou/

* 개복치 강연 기사를 번역한 블로그 글 (한국어): http://wonnyum.tistory.com/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