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21일, 미래부(미래창조과학부)와 교육부가 "소프트웨어(SW) 교육 청사진 나왔다!"라며 'SW중심사회를 위한 인재양성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발표가 나오자마자 SNS 등에서는 개발 관련 직종 사람들이 '과연 제대로 될 것인가'라고 우려를 표하기도 했고, 각종 언론사들도 비판을 하기도 했다.
* [사설] 교사도 없이 소프트웨어 가르치겠다는 정신 나간 정부 (중앙일보)
* SW 교육 의무화?.."국어 선생님이 수학 가르치는 격" (뉴스1)
이에 대해 교육부 쪽에서는 "초등학교 교사 6만 명이 연수를 받고, 중학교는 '정보 컴퓨터' 자격증 소지한 교사가 1739명이기 때문에 교원 확보에 큰 무리가 없다"는 해명을 했다.
([사실은..]SW교육 기존 교사로 가능..신규채용 필요 없어 (정책브리핑))
이런 해명만 들으면 '무슨 속 편한 소리냐!' 싶겠지만, 실제로 발표한 계획에 따르면 딱히 전문적인 추가 인력이 필요 없는 게 맞다. 문제는 사람들이 발표 내용을 숙지하지 못했다는 것.
자, 미래부와 교육부가 함께 발표한 'SW교육' 개편 내용을 한 번 들여다보자.
다시 한 번 요약 정리하자면,
초등학교: '실과' 과목 내에 있는 ICT 단원 -> SW 단원으로 이름 바꾸고 교육시간 조금 늘림.
중학교: '정보'라는 이름의 선택과목 -> 필수과목으로 바꿈.
고등학교: '정보' 심화선택 과목 -> 일반선택 과목으로 바꿈. (선택과목)
'SW교육'이라며 떠들썩했지만, 그건 받아들이는 우리가 너무 설레발 친 면도 있다. 그 단어만 보고는 뭔가 새로운 과목 하나 만들어서 대단한 교육 하는 것 처럼 받아들인 것 아닌가. 우리가 반성해야 한다. 실제로는 그저 기존에 있던 과목을 수업시간 배정 등을 다시한 것 뿐이다. 물론 내용도 조금 보강하기는 하겠지만.
따라서 지금 있는 교사들만으로도 충분히 가능하고, 신규 전문 인력 충원 따위 전혀 필요없다. 애초에 계획이 그렇다. 그러니까 뭔가 대단한 것 하는 줄 알고 어떻게 인력 충원도 없이 그런 대단한 걸 하느냐! 버럭! 했던 분들은 흥분을 가라앉히시기 바란다.
p.s.
덧붙이자면 이렇게 결정된 것이 그나마 다행이라고 본다. 특히 한국처럼 시험과 성적이 중요한 교육환경에서 과목 하나를 더 넣는 건 엄청나게 큰 일이다. 코딩교육 말 나온지 1년 만에 뭔가 결정하고 과목을 하나 더 넣어버린다면 그게 더 문제다. 좀 더 긴 시간 논의 과정을 거쳐서 조심스럽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웹툰일기 > 201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풀스택 개발자, 회사 입장에선 좋기만 할까 - 영웅 시스템은 비극적 결말의 예약 (1) | 2015.07.29 |
---|---|
인천 공항 환전도 발품이 진리 (1) | 2015.07.29 |
미래부 교육부 초중고 SW교육 계획 - 전문 인력 충원 없이 실행 가능 (4) | 2015.07.28 |
인터넷 시대의 시민 참여형 정치 플랫폼 '민주주의OS' - 비영리 오픈소스 스타트업 운영하는 정당 (0) | 2015.07.24 |
면접이 구라치기 경진대회냐 (1) | 2015.07.23 |
훈훈하면서도 서글픈 개발자의 치킨 사랑 이야기 (2) | 2015.07.21 |
댓글을 달아 주세요
결국 새로운 사교육 시장 창조하기 였나요..
근데 선택에서 필수로 바뀌면 인력이 더 필요하지 않을까요
저거 하는 목적이 뭔지 모르겠어요 다른나라 한다니까 다하는거같은데... 그리고 겉으로만 성과낼려고 대충하는 정책이 성공할지도 의심스럽네요
정보교과를 필수로 만드는 것도 대단한 일이긴 하지만... 저도 대체 목적이 뭔지를 모르겠네요. 기본적인 소프트웨어 사용법을 알려주자는 게 전부라면, 정보 교과의 본질적 목표가 그게 전부라면 많이 아쉬울 것 같은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