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데이트)
6월 9일, 진단과 치료비 모두 정부에서 전액 부담한다는 발표가 나왔음.
정부 "메르스 진단·치료 비용 전액 지원한다" (매일경제, 2015.06.09.)
*
전염병 돈다고 막 걱정없이 병원도 갈 수 있고 하면 가난뱅이가 무슨 서러울 일이 있겠니. 아프면 골방에서 혼자 앓다 죽어야 하니까 가난뱅이가 서러운 거지. 그렇게 골방에 처박혀 있다가 뭔가 억울하다는 생각에 빡치면 광장에 나가서 크기 기침 한 번 해보는 거고, 세상이 그런 거 아니겠어?
어쨌든 확실한 내용을 한 번 살펴보자.
(이 내용은 2015년 6월 8일 기준임. 후에 달라질 수 있으나 업데이트는 귀찮아서 안 할 것 같음.)
일단 현재까지 '메르스(MERS)'는 '법정 감염병 목록'에 올라있지 않은 상태다. 이 목록에 올라야 국가가 강제로 통제할 수도 있고, 치료비 같은 것도 대 준다고 한다.
(<메르스 비상 - 정부 대응 부실>메르스 법정감염병 목록에 올리지도 않았다, 문화일보, 2015.06.05.)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도 메르스 검사비용은 무료이고 치료 비용은 건강보험을 적용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만약 실손의료보험에 가입돼 있다면 건강보험금을 적용하고 난 후 발생한 법정 본인부담금은 이를 통해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입원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지금은 검사 비용은 무료이지만, 치료 비용은 자가부담이다. 실손보험에 가입했다면 꽤 경감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건강보험만 적용돼서 본인부담금이 나온다. 얼마가 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1인실로 며칠 입원하면 모르긴 몰라도 꽤 나오지 않을까.
그나마 좀 희망적인 소식이 들려오기도 한다.
"환자분들이 돈을 내는 것은 가급적 없도록 한다는 게 우리의 방침"
(복지부 "메르스 환자, 치료비 안 내도록 할 것", 뉴시스, 2015.06.05.)
기재부 관계자는 “환자 개인에 대한 의료비 지원 여부는 향후 관련 부처들과 협의해서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메르스 쇼크]정부, 가용예산 3조7000억, 검사·검역지원 집중, 헤럴드경제, 2015.06.07.)
그러니까 요약하자면, 앞으로 어떻게 될 지 모르겠지만 일단 지금은 본인부담금이 있다. 즉, 돈을 내야 한다. 따라서 가난뱅이는 갈 수 없다. 그러므로 가난뱅이 중에 메르스 증상이 있는 사람은 혼자 끙끙 앓으며 숨을 수도 있다는 뜻.
따로 코멘트는 달지 않고 끝~*
p.s.
검토하고 있다는데 정부를 믿어볼 수도 있지 않느냐고 할 수도 있겠지만, 이런 것들이 보여서...
> 아주대병원, '아덴만 영웅' 석해균 선장 치료비 2억원 못 받아 (경향신문, 2015.03.01.)
'웹툰일기 > 201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자들이 맨날 "안 된다"라고 말 하는 이유 (6) | 2015.06.09 |
---|---|
메르스 코리아 시즌1 요약 (0) | 2015.06.08 |
메르스? 가난뱅이는 걸리면 숨어야 하는 현실 (0) | 2015.06.08 |
한국의 이상한 문화, 마스크 혐오증 - 마스크 쓴 사람이 더 안전할 수 있는데 (7) | 2015.06.05 |
메르스, 생존도 셀프. 스스로 방역체계 구축하는 국민들 (0) | 2015.06.03 |
벤처, 예비 창업, 프리랜서 등을 위한 협업 공간들의 문제점 (3) | 2015.06.03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