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즈는 처음 부팅이 느렸었다. 그걸 빠르게 한답시고 꽁수를 부리더니,
시각적 효과를 주어 빠르게 부팅 되는 듯 꾸며 놓고는,
일단 부팅 된 것처럼 바탕화면까지 보여 준 다음 계속 부팅 작업을 하도록 해놨다.
바탕화면 떴다고 바로 작업에 들어갈 수 없게 된 것이다. (일종의 뻥)
이런 추세를 따라가는 것인지 최근 프로그램들을 설치해 보면,
처음 시작부터 99% 까지는 빠르게 쭉쭉 진행이 잘 된다.
아니 이거 정말 설치 되는거 맞는 거야? 싶을 정도로 빠르다.
결국 100% 라고 표시해 놓고는 나머지 설치작업과 구성작업을 처리한다.
0%에서 100%까지 진행되는 시간보다 100%에서 기다리는 시간이 더 길다.
옛날에는 전체적으로 좀 느린감은 있었지만 뻥은 많이 안 쳤었는데.
요즘 PC 환경은 뻥이 난무한다.
100% 작업됐다고 해 놓고는 계속 오래오래 작업중인 프로그래스 바 외에도,
4.7GB 용량이라고 적혀 있는 DVD는 실제로는 4.3GB 정도밖에 못 굽는 것도 그렇고.
(이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난 이상하다, 전혀 당연하지 않은 것 아닌가.)
'작업이 잘 진행되었습니다' 해 놓고는 실행시키면 치명적인 오류 뜨고,
이유없이 왜 그런지 알 수 없게 오묘하게 작동이 잘 안 되는 것들도 많아졌고...
특히 요즘 리눅스에선 각종 에러 메시지 (segmentation fault 같은 거)는 잘 안 뜨지만,
왜 그런지 알 수 없는 오묘하게 작동 안 하는 경우가 부쩍 늘어난 것 같다.
(다른 사람들은 잘 되는데 내 것만 잘 안 된다든지,
A 작업이 되면 당연히 B 작업도 돼야 하는데 그게 안 된다든지 등등)
뻥쟁이 컴퓨터들!
어쩌면 인간에게 스트레스를 주어 피로에 쩔게 만들려는 계략일지도 모른다.
그래야 나중에 직접 인류를 점령하러 나섰을 때 반항이 거세지 않을 테니까. ㅡ.ㅡ;;;
4.7GB와 4.3GB는 1024를 쓰는가 1000을 쓰는가의 차이로 기억합니다만...
부연 설명을 해야겠군요. 4.7GB라고 할 때는 쉽게 1000B=1KB로 계산하고, 4.3GB는 실제로 PC에서 1024B=1KB로 사용하기 때문에 나오는 값입니다. 기준이 틀림. 다른 저장 장치들도 똑같을겁니다
나도 그건 알고 있어.
그걸 당연하게 생각한다는 게 이상하다는 거지.
그래도 저는 100%에서 멈추기보다는 99%에서 멈추고 기다리라는
상당히 양심적인(?) 프로그램들을 많이 봤지요
저도 98~99% 에서 한참 기다리는 프로그램을 많이 봤지요. 0~99까지 10초, 99에서 100 가려면 1분. ㅡ.ㅡ;;;
그게 아니고, '이거 설치하면 난리 날지도 모르는데? 후회 안하냐? 지금이라도 취소 버튼 누르면 롤백되는데? 에이, 한번만 더 생각해봐라. 이거 깔아서 뭐가 되겠냐. 에러만 늘고 리소스만 더 먹을껄. 그냥 취소 버튼 누르는 게 어때. 아직 시간은 있어 기회도 있고. 내가 10초 더 기다려 줄테니까 좀 더 생각해봐' ..뭐 이런 프로그램의 속삭임 같은거 아닐까요?
100%가 되더라도 취소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 기다려주는 프로그램인겁니다.
푸-훗---
... 니가 만들었지???!!! ㅡ.ㅡ+++
http://www.zdnet.co.kr/news/enterprise/law/0,39031176,39164010,00.htm
용량문제에 대해선 이 글을 읽어보심이 어떨까요;;
'유저는 기업의 온라인 매장에서 구입시에 10%를 할인받을지, 5%를 환불받을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이 타협안 만으로도 저는 괜찮다고 생각하는데... 한국은 이 타협안이 적용 안 되는 거겠죠? ㅡ.ㅡ;;;
아마도요;;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