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대형마트에서 작은 상자 제품을 팔지 않는것은 문제의 소지가 있긴 하지만, 저위의 대형마트와 비교되는 작은 슈퍼도 사실 작지는 않은듯 합니다. 일반 슈퍼에서 저 제품을 990원 살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할인된 가격에서 구입할 수 있는 슈퍼가 주위에 있다면 좋겠지만 없는 곳에 사는 분들은 조금 혼란 스러우실지도...
저런 눈속임 흔하죠.
흔히, '덕용포장'이라고 불리는 대형, 혹은 대량의 패키지가 단가가 쌀 줄 알고 아낀다고 사는 경우가 있는데, 그램이나 개수로 단가를 계산해보면 대형포장이 더 비싼 경우 자주 있습니다. 당연히 대량으로 사면 쌀 거라는 심리를 이용한 '사기'나 마찬가지이죠.
그리고, 대형마트의 경우 납품업체들을 막 쥐어짜기 때문에 '마트전용'상품의 경우 용량이 작은 경우도 많습니다. 가령, 백x표 설탕의 경우 일반 상점에서는 3kg짜리인데, 마트에서 사면 2.7kg이라는 이해할 수 없는 중량의 제품이 있죠. 얼핏 봐선 3kg짜리와 달라보이지 않기 때문에 싼 줄알고 사는데 정작 단가를 따져보면 전혀 싸지 않죠.
대형포장을 살 때, 단가가 더 비싸면 이중으로 피해를 보는 셈이 됩니다. 왜냐하면, 일단, 가격에 속아서 피해를 보고, 또 당장 그 많은 양을 쓸 것도 아닌데, 많이 혹은 부피 큰 걸 사서 집에 저장해두고 쓰는 셈이니 저장공간 문제나 사용상 편의문제등으로 피해를 보는 거죠.
저도 한 때는 대형포장이니까 아무래도 싸겠지라고
막연히 생각하고 그냥 샀던 적이 있었죠.
그런데 샴푸 살 때 '이렇게 많이는 필요없다'싶어서
주변 수퍼를 들러봤는데, 용량으로 비교해보니
똑같은 상품이 더 싼 게 눈에 띄더군요.
그 때부터 메트릭스에서 벗어났다고나 할까요... ^^;
싸잡아 대형마트로 다룰 땐 다른 대형마트, 같은 물품을 찾아 가격비교 하는 편이 더 흥미로울 듯합니다. : } 동네 슈퍼, 작은 마트의 비교인 경우에도 '어느 곳이 대체로 싸다' 할 순 없습니다. 생물은 입점된 시기(신선도죠.)에 따라, 공산품은 유통 경로에 따라 가격 차이가 유동적으로 나는 게 보통입니다. 게다가 분류 별로 유통 경로가 다르니, 가게마다 물품별 가격 형성이 달라지고. 그 때문에 어디 가게, 어느 물품을 싸게 사더라도 다른 물품에서 가격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도 정녕 싸게 사려면, 번거롭더라도 물품 분류에 따라 형성된 주변 상점 가격 사전조사를 하고, 그에 맞게 소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동 · 시간 비용을 따지면 그것도 손해일 수 있겠네요.
네... 마트가 싸지는 않은게 이로썩 확실해졌군요..
저도 의심은 하고 있었는뎁 쩝...
저도 여태까지는 확실한 물증을 잡지 못했는데,
이제서야 이렇게 딱 잡게 됐네요. ^^;;;
추가:
롯데마트와 롯데수퍼끼리도 입이 맞지 않았다는 게 좀 신비(?)했음.
어제 이마트에서도 확인했는데, 거기서도 저 큰 박스만 팔았음.
이런거 널리 알리면 이제
990원 짜리 초코 다이제가 비싸지지 않을까...
싶어서 어제 이미 30개 사놨음. ㅋ ㅡㅅㅡ/
대형마트가 싸지 않은 경우가 많아요
그런데도 대형마트로 가게 되는 이 발걸음은 어찌할까요^^
뭐 요즘은 거의 동네에 있는 농협수퍼 가지만 말이죠 ^^
농협 하나로마트가 여러모로 좋은 듯 해요.
도시에는 잘 없는 게 문제지만요 ^^
재미있는 포스트네요~^^ㅎ
다이제 많이 좋아하시나봐요, 저도 엄청 좋아합니다~ㅎㅎ
대형마트에 파는 대부분의 과자는 봉지나 박스의 크기는
크지만 내용물은 좀 부실하더군요~
한참 3개 묶어서 천원씩 팔던 과자들이 실제 낱개로 파는
과자들에 비해 양이 적게 들었다는 뉴스를 본적이 있네요~
다이제도 이럴줄은 ㅠㅠㅋ
세 개 천 원 짜리 과자는 정말 사기당한 느낌이었어요.
완전 포장지 값이라는 느낌... ㅠ.ㅠ
글쓴 취지는 이해하지만 제품 패키지가 다르면 가격도 달라지니까요. 전체 크기가 크고 작고를 떠나서 낱개포장된 제품이 비싼건 당연하지요. 오히려 "대형마트에는 왜 통포장으로 된 다이제가 없냐?"는 얘기가 더 설득력이 있을 것 같습니다.
하필이면 왜 비싼 걸 갖다놓냐는 의문이지요.
물론 대형마트에서 작은 상자 제품을 팔지 않는것은 문제의 소지가 있긴 하지만, 저위의 대형마트와 비교되는 작은 슈퍼도 사실 작지는 않은듯 합니다. 일반 슈퍼에서 저 제품을 990원 살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할인된 가격에서 구입할 수 있는 슈퍼가 주위에 있다면 좋겠지만 없는 곳에 사는 분들은 조금 혼란 스러우실지도...
제 경험상으로는 대형마트가 있는 곳이라면,
주위에 가격비교를 할 만 한 수퍼가 있습니다.
(꼭 이 글에 나온 저 품목이 아니더라도 말이죠)
찾아내는 것이 좀 어렵긴한데, 그래서 발품이 필요하지요. ^^
싸게 살려면 역시 발품을 많이 팔아야 되는거 같아요..
추가로 한양대 병원 입구쪽 엠마 빵집 없어졌어요. 작년 12월 뚜레주르로 바꼇더군요..
아...엠마빵집 꽤 오래된 빵집이라고 알고 있는데...
그렇군요, 세상은 변해가는 거네요 ㅠ.ㅠ
음 좋은 글 감사해요~
대량 구매해야 하나요 ㅅ.ㅅ;;
싼 것 발견했다면 쌓아놓고 먹는 것도 방법이긴 하죠.
근데 쌓아놓고 먹으면 많이 먹게 된다는 부작용도 있구요. ㅠ.ㅠ
저런 눈속임 흔하죠.
흔히, '덕용포장'이라고 불리는 대형, 혹은 대량의 패키지가 단가가 쌀 줄 알고 아낀다고 사는 경우가 있는데, 그램이나 개수로 단가를 계산해보면 대형포장이 더 비싼 경우 자주 있습니다. 당연히 대량으로 사면 쌀 거라는 심리를 이용한 '사기'나 마찬가지이죠.
그리고, 대형마트의 경우 납품업체들을 막 쥐어짜기 때문에 '마트전용'상품의 경우 용량이 작은 경우도 많습니다. 가령, 백x표 설탕의 경우 일반 상점에서는 3kg짜리인데, 마트에서 사면 2.7kg이라는 이해할 수 없는 중량의 제품이 있죠. 얼핏 봐선 3kg짜리와 달라보이지 않기 때문에 싼 줄알고 사는데 정작 단가를 따져보면 전혀 싸지 않죠.
대형포장을 살 때, 단가가 더 비싸면 이중으로 피해를 보는 셈이 됩니다. 왜냐하면, 일단, 가격에 속아서 피해를 보고, 또 당장 그 많은 양을 쓸 것도 아닌데, 많이 혹은 부피 큰 걸 사서 집에 저장해두고 쓰는 셈이니 저장공간 문제나 사용상 편의문제등으로 피해를 보는 거죠.
저도 한 때는 대형포장이니까 아무래도 싸겠지라고
막연히 생각하고 그냥 샀던 적이 있었죠.
그런데 샴푸 살 때 '이렇게 많이는 필요없다'싶어서
주변 수퍼를 들러봤는데, 용량으로 비교해보니
똑같은 상품이 더 싼 게 눈에 띄더군요.
그 때부터 메트릭스에서 벗어났다고나 할까요... ^^;
저는 과자나 음료 종류는 아예 마트에서 사지를 않습니다....일단 대량묶음은 영 시덥잖아서 말이죠.
콜라는 PL제품으로 사지요. 맛이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어차피 몸에 좋은 것도 아니고 하니까, 입맛을 제품에 맞춰 버렸어요. ;ㅁ;
저도 다이제 좋아합니다. 제가 믿고 먹는 몇 안되는 과자중 하나.
이건 담배보다 중독성이 강해요 ;ㅁ;
과자류는 필수품이 아니므로 구매를 안합니다.
필수품도 수퍼가 더 쌀 때가 종종 있어요~
싸잡아 대형마트로 다룰 땐 다른 대형마트, 같은 물품을 찾아 가격비교 하는 편이 더 흥미로울 듯합니다. : } 동네 슈퍼, 작은 마트의 비교인 경우에도 '어느 곳이 대체로 싸다' 할 순 없습니다. 생물은 입점된 시기(신선도죠.)에 따라, 공산품은 유통 경로에 따라 가격 차이가 유동적으로 나는 게 보통입니다. 게다가 분류 별로 유통 경로가 다르니, 가게마다 물품별 가격 형성이 달라지고. 그 때문에 어디 가게, 어느 물품을 싸게 사더라도 다른 물품에서 가격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도 정녕 싸게 사려면, 번거롭더라도 물품 분류에 따라 형성된 주변 상점 가격 사전조사를 하고, 그에 맞게 소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동 · 시간 비용을 따지면 그것도 손해일 수 있겠네요.
매끈한 다이제스티브, 잘 보고 갑니다.
그렇죠, 주변의 지형지물(?)을 잘 이용해야죠~ ^^;
다이제 때문에 댓글 답니다.
제가 소비하는 과자의 50% 정도는 다이제라서...
집 근처엔 롯데마트와 홈플러스가 있는데, 둘 다 너무 멀어서
걸어서 3분 거리의 좀 큰 슈퍼마켓을 자주 가게 돼요.
결론적으로 대형 마트 가는 것보다 나은 선택이었군요.
네, 지금으로썬 990원 짜리 초코 다이제가 정답이에요~ ^^
대형 마트가 더 비싼 경우가 있는 건...이미 라디오나 TV에서 알려 주었습니다. 이름도 대형 할인점이 아니라, "대형 마트"잖아요. 유통 경로나 제작 방법에 따라 단가는 다르게 맞추니까 어디가 제일 싸다는 것은 그때그때 다릅니다. :-)
언제나 변화하는 상황에 잘 적응하는 것, 그것이 바로 돈 없는 자들의 특권 ㅋ
때로는 편의점에서 이벤트하면 편의점 물건이 마트보다 쌀 때도 있으니...
저는 다이제스티브를 제일 좋아하는데
다이제와 다이제스티브가 다른 과자인가요?
오리온 초코파이, 롯데 초코파이, 해태 초코파이 같은 식인줄 알았는데
지금 찾아보니 둘 다 오리온꺼네요 -0-
...뭐죠 이거?
옛날에 맥비티 사와 제휴해서 만들 땐 오리지널 표기 그대로 다이제스티브라고 썼죠. 제휴가 끝나고 오리온이 그걸 독자적으로 만들어 팔면서 다이제라고 팔고 있는 거구요.
요즘도 수입상가 같은 데 가 보면 오리지널 다이제스티브를 볼 수 있어요. 엄밀히 말하자면 다이제스티브와 다이제는 다른 제품이죠. 사실 맛도 약간 차이 나구요. ^^
이 문제를 텔레비젼에서도 다뤘죠.
묶여서 파니 좀 싼 듯한 느낌으로 소비자를 속이는 일인 듯
조금만 넋 놓고 있으면 집어들게 되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