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도 2G 전화기 요금제 다 사용할 수 있다. 의외로 IT 종사자들도 이걸 잘 모르더라.
일단 전화기 약정이 끝난 상태면 스마트폰 전용 요금제 외에 다른 요금제로도 전환 가능하다.
물론 이때, 3G 데이터 통신은 포기해야 한다. 쓰려면 쓸 수는 있지만, 초당 비싼 요금이 적용되기 때문에 요금 폭탄 맞는다. 전화 요금제는 싼 걸로 하고, 데이터 전용 요금제만 또 따로 가입하는 방법도 있다.
내 경우는 애초에 전화기를 새로 장만할 때부터 11,000원 짜리 표준요금제를 기본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구한다. 인터넷에서 낚시하는 강태공의 마음으로 인내와 끈기를 가지고 기다리면 일 년에 두어 번 기회가 온다.
최근엔 테이크 야누스를 장만했다. 기기 할부금 없고, 가입비 없고, 유심비 없음. 12개월 약정으로, 중도 해지하면 8만 원 위약금. 기본으로 사용하는 요금제는 11,000원 짜리 표준요금제.
이런 걸 장만하면 제일 먼저 해야할 것이, 개통한 후에 바로 114에 전화해서, '데이터 통신 차단해 달라'고 요청하는 것. 그래야 실수로라도 3G 사용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3G는 쓸 수 없지만, 스마트폰 기본 기능들은 다 사용할 수 있다. WiFi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앱 설치하는 것도 아무 문제 없고.
데이터 통신이 별 필요없는 자녀들이나 부모님에게 전화기 해 줄 때도, 요즘은 스마트 폰 밖에 없기 때문에 스마트 폰 요금제 가입해서 주는 경우가 많은데, 괜히 비싼 요금제 가입해서는 쓰지도 않는 3G 허공에 날리느니, 이런 방법 한 번 생각해보는 것도 좋을 듯.
가끔 데이터 통신이 아쉬울 때도 있지만, 사실 그거 없었어도 여태까지 잘 살았다. 난, 애초부터 가지지 않았던 것 욕심내기보다는, 그냥 가볍게 돈 아끼며 살련다.
안녕하세요. 빈꿈님 만화 잘 보고 있습니다.
야누스를 사용하신다면 KT인데, MMS는 어찌 받으시는지 궁금합니다.
데이터통신 차단 신청 후에 3G를 켜놓으면 MMS 수신이 가능합니다. 물론 수신은 무료구요. 저는 평소엔 3G를 꺼놓고(배터리 소모 때문에), MMS를 받으면 3G를 켜서 다운로드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