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을 위시한 각종 뉴스 기사들을 보면, 똑같은 인물들이 참 자주 등장한다.
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인물들은 주로
익명의 독자(제보자), 김 모씨, 관계자, 전문가, 네티즌 등이다.
오늘 인터넷을 뒤져보다가, 어떤 뉴스 기사에서 '네티즌이 이렇게 말 했다'라는
글을 보고는
정말로 그렇게 말 한 네티즌이 있는지 찾아본 어떤 분의 글을 읽었다.
(결국 기사에 나온 네티즌은 아무리 찾아봐도 없었음.)
이 즘 되면 기사가 아니라 에세이나 소설 아닐까.
이런 식으로 기사를 쓴다면 나는 하루에 백 개는 쓸 수 있겠다.
만화에서 소개했지만, 다시 한 번 글로 써 보자.
날로 먹는 기사 작성 방법!!!
<예시>
제목: 서울에 UFO 타고 놀러온 외계인 목격!
오늘 오후 3시 경, 서울 도심 상공에서 UFO가 나타났다고
익명을 요구한 독자가 제보했습니다.
현장에 있었던
김 모씨(26)는 'UFO에서 외계인이 내렸다'라며
반 즘 넋이 나간 표정으로 말 했습니다.
이 제보를 받고 자체조사 중에 바닥에 그을린 흔적이 발견되었는데,
한
전문가는 이렇게 말 했습니다. "이것은 외계물질이다. 지구에는 없는 것이다."
안타깝게도 이 그을린 흔적은 조사중에 사라져버렸습니다.
사건
관계자는 "사실 서울 상공에서 UFO가 목격된 것은 몇 번 있었지만,
외계인이 내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라고 전했습니다.
이 소식을 접한 한
네티즌은 자신도 현장에 있었다며,
'외계인이 내려서 빵상이라고 말 했다.'라며 구체적인 정황을 제시했습니다.
기사제공: 아메바 늬우스. 무단전제 및 재배포 하삼. 퍼가서 욕 먹어도 책임 못 짐.
어떻게 쓰면 되는지 이제 아시겠죠~?
자, 이제 모두 다같이 뉴스 기사를 한 번 써 보아요~~~ ^0^/
그림 잘 봤습니다.
카페로 좀 옮겨갑니다.
링크만 걸어야 하지만, 카페 성격상 일단 펌을 했습니다.
요청하시면 바로 내리겠습니다.
http://cafe.daum.net/antimedia/4Ni6/63
그림 퍼가는 것도 괜찮습니다~ ^^
아아...이런 카페도 있었군요.
그래도 소설 기사(?)는 댓글들이 재미있어서 저는 볼 만 하던걸요... ^^;;;
재미있는 그림일기 잘 봤습니다^^
아래 쓰신 기사 보니 정말 그럴듯하군요.
네이버에 올라 있어도 믿겠어요ㅋ
저 이제 낚시 전문 기자로 한 번 활동해 볼까요?
욕은 좀 얻어 먹겠지만 방문자 늘고 광고수익도 늘 수도... ^^;;;
(농담이에요~ ^^)
그림 너무 재미있게 그리셨네요 ㅎㅎㅎ
고마워요~ ^^;;
형은 김모씨가 될수 없어요 ㅎㅎㅎ
요즘 추세대로 하자면 A씨 라고 해야할까~~
풉
^^
명쾌하네요... ㅋ
제가보기에는 기사쓰기 템플릿같은게 있어서
빈칸만 채우면 되는 뉴스기사 송고 시스템이 있는것 같습니다..
옆에는 TV캡쳐프로그램 필수... ^^
빈 칸 채우기 기사쓰기 템플릿 좋은걸요~
오오... 링크 몇 개 집어넣고 빈 칸 채우면
알아서 뒤섞어서 혼합해주는 장치...
갑자기 만들어 보고 싶어지는데요~ ^^;;;
기사를 쓴다 "이게 다 xxx탓"->
그 기사를 외국신문사에 제공 ->
그걸 다시 이렇게 인용 "외국 유명언론. 이게 다 XXX탓이라고 강하게 비판."
어때요? 참 쉽죠?
외국 언론 사이트에 댓글 달고,
해외 네티즌은 이렇게 생각한다라는 응용도 가능하군요~
예시로 작성하신 글이 정말 기사인줄 착각했습니다.
워낙 비슷한 글을 너무 많이 봐서요.
흡사 자격증시험에 숫자만 틀리게 나오는 패턴같다고나할까...
저도 쓰면서 왠지 익숙한 느낌을 받으며 단숨에 쓸 수 있었지요.
정말 비슷한 패턴이 요즘 많지요? 에휴... ㅡ.ㅡ;
이게..세상이 좋아지니..잘되는건지..가만히 앉아서 돈벌기 쉬워졌다는...
문제 많은 듯... 인터넷을 통해 기사 날로 쓰기..요.
하루이틀 일이 아니죠 에휴. 포털은 자체기사 제작을 아예 안했으면 좋겠군요
안녕하세요? 언론혁신 국립 제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편집위원회 '여과지'입니다. 이번에 여과지에서 회지를 발간하는데 이 그림을 사용하고 싶어서 이렇게 연락 드립니다. 쉬어가기 페이지에 원본 그림 그대로 사용하고 싶은데 가능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