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
삼성 "국내 스마트폰(갤럭시 노트4) 가격이 해외보다 높지 않다"... 근데 궁금한 것들IT 2014. 10. 17. 09:37
최근(10월 14일) 삼성전자가 페이스북과 블로그로 '국내 스마트폰 가격은 해외보다 높지 않습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페이스북 글은 블로그 글을 소개하는 간단한 내용이었다. 최근 국감(국정감사)에서 삼성 핸드폰이 국내에선 유독 비싸게 팔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는데, 이걸 반박하기 위해서 삼성전자 측이 그런 글을 쓴 것이다. 미래부 국감 "갤노트4, 미국선 32만원, 한국선 79만6000원, 국내 소비자는 봉" (조선비즈) 블로그 글에 뭐가 억울하다는 건지 내용이 나와 있으니, 궁금한 분들은 한 번 읽어보시기 바란다. 페이스북: 국내 스마트폰 가격은 해외보다 높지 않습니다 블로그: 국내 스마트폰 가격은 해외보다 높지 않습니다 삼성전자 공식 블로그에서는 '갤럭시 노트 4'의 예를 들며, 아래와 같은 ..
-
비보이들의 댄스 배틀 - 세계 거리 춤 축제 2014, Street Dance Championship SD4국내여행/서울 2014. 10. 14. 13:25
지난 10월 11일, 12일 양일간 열렸던 동대문구 장안동의 '제3회 세계거리춤축제'. 장장 1.5킬로미터 길이의 7차선 도로를 다 막고 진행했던 축제였다. 축제 거리의 한쪽 끄트머리였던 장안사거리 쪽에는 메인 무대가 설치되어 각종 행사와 춤 공연, 춤 대회 등이 진행됐고, 반대쪽 끄트머리인 장한평역 쪽에서는 비보이 배틀 대회가 열렸다. 축제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고싶다면 앞에 썼던 글을 참고하시라. 물론 이번 글은 비보이 배틀 무대만을 소개하므로, 앞의 글을 참고하지 않아도 상관 없다. 2014/10/14 - [잡다구리] - 동대문구 장안동의 꽤 괜찮았던 축제 - 세계 거리 춤 축제 2014 위 사진은 장안사거리 쪽에 설치됐던 메인무대. 그래도 축제 메인 무대는 일단 넣고 시작하자해서 넣은 것 뿐, 이번..
-
핵심은 DJ 파티 - 2014 이태원 지구촌 축제 - 2국내여행/서울 2014. 10. 14. 11:24
토요일에 이어, 일요일에도 다시 이태원을 찾았다. 딱히 멀리 놀러가지 않아도, 이런 축제를 찾아다녀도 주말은 나름 즐겁게 보낼 수 있으니까. 이 축제는 10월 11일, 12일 양일간 열렸고, 아마도 내년 이맘때 쯤 다시 기회가 있을 테다. 내년에 다시 열리면 이 기록이 누군가에겐 도움이 되겠지. 전날 이태원 역으로 나왔더니 출구부터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이번엔 녹사평 역으로 나왔다. 예상했던대로 녹사평 역으로 나오는 게 좀 더 접근하기 쉬웠다. 이태원 역으로 나오면 바로 축제 현장으로 들어갈 수 있지만, 녹사평 역으로 나오면 조금 걸어야 무대 쪽으로 접근할 수 있어서, 비교적 사람도 적은 편이었다. 이쪽에는 메인무대가 설치 돼 있었는데, 도착하자마자 어떤 그룹이 공연을 하고 있었다. 이태원만의 독특한 분..
-
텔레그램이 갑자기 인기를 끈 이유웹툰일기/2011~ 2014. 9. 28. 23:41
다 알고있는 이야기를 한 번 정리해봤음. 노코멘트. 참고자료로 얘기하리다. p.s. 참고자료 * 세월호 침몰 사고 (위키백과) *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엔하위키) * '7시간' 해명 않고..박 대통령 "모독 발언 도 넘어" 발끈 (9.16) * '박 대통령 사라진 7시간' 번역한 기자까지 조사 나선 검찰 (9.21) * 검찰, 사이버 명예훼손 전담수사팀 신설..여론 통제 우려도 (9.21) * 일본, '세월호 침몰' 재연 영상 공개.."한국의 비침한 사고" (9.22) * 국가의 인터넷 검열, 중국이나 한국이나.. (9.24) * 검찰 "인터넷 상시 단속" ..'사이버 공안 시대' 오나 (9.25) * 조선 칼럼 vs 산케이 기사, 직접 비교해보니.. (9.25) * "우리 감시받는거 아냐?"...
-
워크홀릭? 노비홀릭!웹툰일기/2011~ 2014. 9. 2. 14:38
멕시코에게 1등을 뺏겨서 분하지만(?) 어쨌든 한국은 OECD 노동시간 2위 국가. 노동생산성은 최하위. 근데 이게 IT 분야만 따로 떼보면 어떨까 싶은데... 어쨌든 이 상황이 일단 워크홀릭(work-holic) 현상 때문인 것은 아니라는 것. 물론 직급 좀 되는 분들 중에 그런 사람들이 꽤 있는 건 사실이지만, 사회 전반적인 현상을 설명할 수는 없다고 봄. 따라서 노비(nobi) 개념(?)을 도입하면 설명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사회 전체 분위기가 개개의 노동자들을 노비라이즈(노비화, nobi-lize) 시켜서, 구성원들이 노비홀릭(nobi-holic)에 빠져들었다라는 것. 배가 고파서 스스로 노비의 길을 택한 사람들이 조선시대에도 있었듯이, 지금도 그런 것 아닐까 싶은데, 여기서 노비와 노예(sla..
-
한국 회사는 공과 사 (公 or 死)웹툰일기/2011~ 2014. 8. 30. 14:20
어차피 이런 내용은 사람들에게 큰 공감을 얻지 못할 거라는 걸 알고 있음. '조직생활을 하려면 어쩔 수 없지 않느냐',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야지' 등의 말들이 나오고, 그 무지막지한 조직논리로 개인이란 건 티끌만도 못한 존재로 까 내릴 사람들이 아주아주 굉장히 많다는 것도 이미 잘 알고 있음. 그래놓곤 큰 사건 터지면, 경찰이 군인이 공무원이 불의에 항거해서 의로운 목소리를 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비난할 사람이 많다는 것 까지도 알고있지. 이건 그저, 한국이 이런 곳이다라고 세계에 알리기 위해 일단 그려놓은 것 뿐. 더이상 큰 의미는 없음. p.s. 어쨌든 조직의 논리를 앞세우며 개개인의 생활을 존중해주지 못하는 회사라면, 사원들에게 창의력이니 톡톡 튀는 아이디어니 그딴거 바라지 말 것. 그냥 조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