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
모험회사 - 개발자는 음란해모험회사 2013. 7. 8. 15:46
꿈과 희망, 환상 먹고 산지 어언 몇 해더냐. 꿈과 희망을 먹고 사는 것도 한계가 있더이다. 그나마 개발자를 하는 이유는 '아아 내가 이걸 만들었어'하는 뿌듯함인데, 그런 자위도 이젠 좀 그만하고 싶소. 꿈과 환상 그만 달라, 리얼월드 살고 싶다! *주의* 농담 반 진담 반으로 그린 만화인데, 만화로 이런 진한(?) 농담 하는 것과, 입으로 이런 걸 내뱉는 것은 큰 차이가 있습니다. 입으로 이런 농담을 할 때는 조심하시길 바라고, 특히 이성에게 하면 성추행이 될 수도 있음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
모험회사 - 파트너 같이 일 하자라는 말은 파트너로 대접하겠다는 뜻이 아님모험회사 2013. 7. 5. 17:48
'파트너 같이 일 하자'라는 말은, 파트너 '같이' 일 할 사람을 구한다는 뜻이지, 파트너를 원한다는 뜻이 아니다. 흔히 새로 시작하는 사업체에서 잘 날리는 뻐꾸기. 여기 혹해서 '우왕 나는 파트너, 동업자 역할이야'하면 당신은 바보. 생각해보면, 인력시장에 널려있는 그 흔한 노동력 제공한다고 파트너로 대우해 준다는 건 웃기는 이야기 아닌가. 나도 예전에 환상을 가지고 함께 한 적 있었는데, 한번은 '파트너 처럼'도 아니고 '파트너로 일 하자'라는 제의를 받았었다. 그래서 함께한 거였는데, 푸하핫, 임금 얘기 나올 때만 파트너. 일 시킬 때는 직원도 아니고 그냥 머슴. 물론 헝그리 정신으로 열심히 해서 회사가 네이버처럼 커지면 뭔가 이득이 있긴 있겠지. 하지만 사람이 꿈과 희망만으로 살아나가는 게 한계가..
-
모험회사 - 회사가 나 없으면 안 돌아가?모험회사 2013. 7. 5. 16:09
월급쟁이들은 흔히들 '회사가 나 없으면 안 굴러간다'라며 스스로 위안 삼기도 한다. 어느정도 그런 것은 정신건강에 도움이 될 수도 있지만, 정말로 그렇게 믿고 행동까지 그렇게 해버린다면 문제다. 의외로 회사는 사람 하나 없다고 안 돌아가거나 하지는 않고, 버팅기는 놈은 없는 게 낫다는 입장을 취하기 때문이다. 반면 어떤 회사는 직원들이 일을 조금 하다가 관두고 나간다며, 인간들이 왜 다들 이러냐고 하소연하기도 한다. 주로 작은회사, 그중에서도 새로 시작하는 벤처(스타트업) 회사들에서 그런 현상이 많이 일어난다. 가장 큰 이유는, 규모 확장을 위해서 이미 있는 사람들 처우를 잘 해주기보다는, 새로운 사람을 자꾸 끌어들이려고 하기 때문이다. 여태까지 고생해서 그정도 했는데, 어디선가 능력있는 사람이라고 기존..
-
모험회사 - IT 3대 막장 : 금융권, 대기업 시스템에 사고가 터지는 이유모험회사 2013. 7. 4. 12:48
'IT 3대 막장'이라고 하기도 하고, 'SI 3대 막장'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혹은 IT(SI) 3대 지옥, 던전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뭐라고 불리든 핵심은 같다. SI 바닥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의 영혼을 빨아먹는 막장 업체들을 뜻한다. 시간이 흐르면 조금씩 바뀌기는 하는데, 현재 1, 2위는 대략 공통된 의견들이다. 3위로 거론되는 업체들이 여럿 있는데, 내 견해는 걔네들 모두를 공동 3위로 올리는 게 합당하다고 본다. SI 바닥에서 조금 굴러본 개발자라면, '내 죽어도 저 곳하고는 거래 안 한다'하는 금융기관이 한두서너대예닐곱 개 정도는 있을 거다. 알게 모르게, 피치못할 사정 혹은 뭔가 에이리어 88 같은 사유로 한 번 쯤은 거쳐가는 막장 갑 업체들. 한 번 겪고나면 몸도 마음도 피폐해져서 어..
-
모험회사 - 야근의 저녁은 당연히 치킨!모험회사 2013. 7. 3. 15:29
업계 표준으로 딱 정하자. 야근의 저녁은 무조건 치킨으로. 우리가 치킨업계를 살려주지 않으면 누가 우리 미래를 책임지겠는가. 쓸 데 없는 국민연금 넣는 것보다 야근마다 치킨을 먹는게 더욱 미래를 대비하는 길인지도 모른다. 물론, 치킨 시켜주지 않으면 야근 거부! 그 정도 성의도 없이 야근 시키지 말라. 매일 야근때 치킨 먹여줄 정도로 벌지 못한다면, 그 또한 야근하는 이유가 없지 않은가. 그정도도 못 버는데 야근은 왜 시키냐, 돈 안 되는 일거리 모두 집어치워라. 뭐 많은걸 바라는 것도 아니잖아. 그저 야근 때마다 치킨 한 마리씩. 그정도면 엄청 싼거다. 아마, 야근 저녁은 무조컨 치킨을 강제로 시행한다면 야근 꽤 없어질 걸. 그런 의미에서 오늘 야근 저녁은 무조건 치킨!
-
모험회사 - 이랬다저랬다 사장님의 아이디어모험회사 2013. 7. 1. 16:17
사장과 직원 사이에 '내가 언제 그런 말 했냐', '이거 분명히 하라고 하셨다' 같은 유형으로 논쟁이 생기면, 거의 대부분 직원 말이 맞다. 왜냐면 아이디어라고 말 던진 사람은 더이상 자기 일이 아니니까 기억 못 할 수도 있지만, 그걸 맡은 입장에서는 자기 일이 되니까 마음 속 은근한 스트레스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상이 원래 그렇듯, 가해자는 발 뻗고 자지만 피해자는 스트레스로 잠을 설친다. 물론, 경영자 입장에서 '그거 그렇게 하라는 뜻이 아니었다'라는 주장은 할 수 있다. 그건 의사소통의 문제다. 어쨌든 아이디어라는 것, 혹은 소소한 업무지시라고 아무때나 시도때도 없이 툭툭 던지는 건 정말 좋지 않다. 거기다가 제대로 기억조차 못 하고 나중에 이랬다저랬다 하면, 그냥 회사 분위기 말아먹자는 것..
-
SW 개발자들의 한 맺힌 목소리 - 서울시 IT 청책 토론회취재파일 2013. 6. 29. 21:06
지난 6월 24일, 저녁 7시부터 서울시청에서는 'IT 개발자들의 목소리'를 듣기 위한 '청책 토론회'가 열렸다. 개발자가 컴퓨터 앞에만 앉아서 밖으로 나오지 않는 이미지가 강했는지, 처음엔 좌석을 조촐하게 마련해둔 상태였다. 하지만 일곱 시가 다 되어서도 계속해서 밀려드는 사람들을 보고, 행사를 진행하는 사람들은 뒤어 접어놓았던 의자를 가져오면서도 놀라워했다. 그동안 개발자들이 얼마나 세상에 목소리를 내지 않고 은둔생활을 했길래 이런 이미지가 널리 퍼져 있는가 싶은 대목이었다. 토론회는 박원순 시장이 착석하자마자 제시간에 칼같이 시작됐다. 사회자(곽동수 숭실사이버대학 교수)의 진행에 따라 간단한 국민의례와 함께 OKJSP의 노상범 대표의 발제가 시작됐다. 노 대표는, '여기 모인 사람들은 다들 인간답게..
-
모험회사 - hwp를 ODF로 바꾸자모험회사 2013. 6. 27. 15:44
한 국가의 문서는 최소한 백 년, 이백 년 갈 것을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 그렇다면 일개 기업은 몇 년이나 지속될까. 한글 워드프로세서가 기념물로 인정받는 것은 좋다. 하지만 그렇다고 hwp 파일만을 고집하는 것은 문제다. 다른곳도 아닌, 정부와 공공기관에서 일반에게 배포하는 문서가 특정 기업의 제품에서만 읽고 쓸 수 있는 파일포멧이라니. 공공성을 위한다면, 더욱 다양한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옳지 않을까. 그러니까 한글 워드프로세서 뿐만 아니라, MS WORD, 오픈 오피스(Open Office), 리브레 오피스(Libre Office) 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ODF를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 더군다나 ODF는 국제표준(ISO)일 뿐만 아니라, 한국산업표준(KS)으로도 지정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