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바닥
-
모험회사 - 개발바닥에서 외국인 끌어오기가 망한 이유모험회사 2013. 6. 17. 13:10
한때 어떤 연구소 등 일부 단체에서는, 정책적으로 각 파트마다 일정 비율 이상의 외국인 개발자(주로 동남아)를 배치해서 쓰도록 정하기도 했다. 그 때 분위기 보면, 어쩔 수 없이 끌어와서 배치는 했지만, 딱히 쓸 수가 없어서 놀려두고, 진짜 일은 한국인 프리랜서나 계약직 끌어서 써서, 이중으로 돈 낭비를 하기도 했다. 이 정책을 짠 윗선에서는 '싼 외국인 노동자 데리고 왔으니 비용 절감됐겠지'라고 생각했겠지. 이런 노력(?)이 거의 실패로 끝나고 말았지만, 소프트웨어 개발 쪽에서는 외국인 노동자들을 좀 더 적극적으로 끌어와서 쓰는 분위기가 정착했으면 좋겠다. 그러면 분위기도 좀 달라지지 않을까 싶기 때문이다. 이 분야, 아직 동남아 쪽에서는 꽤 괜찮은 직업군에 속하기 때문에, 이 사람들 끌어와서도 여태까..
-
모험회사 - 일 할 사람이 없어 = 실력있고 값 싼 인력이 없다는 뜻모험회사 2013. 6. 17. 11:56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사실. 이 업계에서 '인력이 모자란다', '사람이 없다'라는 말의 진짜 뜻은, '경력 많고 값 싼 인력이 없다'라는 뜻. 이미 아는 사람은 다들 알고 있는 내용이지만, 업계 외부 사람들은 잘 모르는 듯. 정부의 SW 인력 육성 정책은 이 업계에 오히려 독이 된다. 차라리 벤처 기업 지원 정책이나 좀 더 강화하는 게 낫다. 특히 대학, 인력이 모자란다고 언론에 나왔다며 장밋빛 환상 가지는 건 금물. 옛날에 아이템 마음에 든다고 덜컥 벤처회사 갔는데, 사장이 월급날만 다가오면 자기는 월급도 많이 못 가져간다고 맨날 투덜대는거라. 나도 겨우 월급 150 받아가는데, 나 들으라고 하는 소리인가 싶어서, 듣다듣다 못참고 어느날 '사장님 월급 많이 받아 가시라'면서 사표 썼지. 근데 그땐 또 ..
-
개발자가 스마트폰 안 사는 이유?웹툰일기/2011~ 2011. 6. 27. 12:18
주위에 꽤 많은 개발자들이 있다. 내 주위 개발자들만 이상한 건지는 모르겠지만, 이상하게도 개발자들이 오히려 일반인들보다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고 있더라. 우선 내가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비싸서'다. 이렇게 말 하면 많은 사람들이 '요즘 스마트폰 공짜다'라고 말 하는데, 내가 알기론 아직 공짜 스마트폰은 없다. 2년 약정 걸고 폰 주는게 공짠가? 절대 아니다. 다시 엄밀히 말하자면 '약정의 노예가 되기 싫어서'라고 말 할 수도 있겠다. 복잡하니까 그냥 '비싸서'라고 하자. 다른 사람들은 어떨까 궁금해서 개발자이면서도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물어봤다. 그랬더니 여러가지 대답이 나왔는데, 나처럼 '비싸서'라는 이유를 댄 사람도 있었고, '회사 사람들이 친구추가하고 그러면 귀찮아진다'..
-
개발자는 편의점 알바보다 못한 존재일까웹툰일기/2011~ 2011. 5. 11. 04:59
아무 일 없는 것 처럼 가만히 있는 모습을 보이곤 있지만, 요즘 사실 기분이 완전 엉망인 상태다. 물론 예전에도 그런 인간들 많았지만, 요즘 부쩍 이런 인간들이 많아졌다. 요즘 백수 시기를 맞아서 더욱 꼬이는가 보다. 어떻게 보면 피식 웃고 넘길 수도 있는 제안(?)들이지만, 요즘 상태가 워낙 안 좋아서 까딱 잘 못 하다가는 어떤 욕을 내뱉을지 알 수 없는 상태다. 근데 욕 좀 해도 되지 않을까. 니가 일 하면 노동이고, 내가 일 하면 삽질이냐 ㅅㅂㄻ!!! 문제는 내 주변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가 이렇게 돼 있다는 게 참 통탄스러운 거다. 혹자는 이런 말을 하면 별 신통치도 않은 프로그래밍 실력 가지고 유세 떤다고도 말 하더라. 그래, 그 말이 맞다 치자. 개발도 개나소나 할 수 있다..
-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회사 하나 없는 IT강국 - 글로벌 소프트웨어를 꿈꾸다웹툰일기/2010 2010. 11. 10. 15:45
'글로벌 소프트웨어를 꿈꾸다(저자 김익환/출판사 한빛미디어)'는 개발자로 현업에서 한 3년만 일 했어도 다 알만 한 내용들을 소개하고 문제점들을 짚은 책이다. 한마디로 한국의 소프트웨어 개발사들 참 문제다라는 내용인데, 그것을 기반시스템, 조직, 프로세스, 기술, 문화 등으로 나누어 설명했다. 아마 읽다보면 대부분은 공감하고, 또 대부분은 이미 겪었거나 겪고 있을 내용일 테다. 문제점만 짚는 책이라면 딱히 읽을 이유는 없다. 물론 문제점들을 체계적으로 정하는 것도 필요하긴 하지만, 그건 정책 입안자나 경영자들이나 경영기획팀 정도에서나 필요한 정보일 뿐. 하지만 이 책의 저자는 오랜기간 컨설팅 경험을 살려저 나름의 해법들을 제안해 놓았다. 대부분은 경영자들이 보고 참고할 만한 내용이라 딱히 언급하지는 않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