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기발한 자살여행
    전시 공연 2009. 4. 14. 13:56

    뮤지컬 '기발한 자살여행'은 자살을 하려는 사람들이 모여서 함께 죽으러 길을 떠난다는 집단자살을 소재로 하고 있다. 이 뮤지컬은 핀란드 출신의 작가 아르토 파실린나의 소설 '기발한 자살여행'을 원작으로 한 창작 뮤지컬이다. 통일이 이루어진 미래의 대한민국을 배경으로 했기 때문에, 버스를 타고 백두산도 마음대로 갈 수 있다는 설정이었다.

    서로 같은 장소에서 자살을 시도하려다 우연히 만난 두 사람은. 이왕이면 자신들과 같은 처지의 사람들을 모아 함께 행동 하자는 생각으로 사람들을 모은다. 그렇게 모인 사람들과 함께 버스를 타고 자살여행을 떠나고, 가는 중간중간 또 다른 사람들을 태우며 여행을 계속해 간다. 북한에서도 자살자들을 픽업했으니, 이만하면 자살은 국경도 없다고 말 할 수 있겠다.

    오랜만에 본 뮤지컬이라는 이유만으로도 좋았지만, 음악과 무대장치 등이 꽤 좋은 편이어서 눈과 귀가 즐거운 뮤지컬이었다. 제목만 봐서는 뭔가 우중충하고 어두운 내용일 것 같지만, 이 뮤지컬의 장르는 무려 '코믹 어드벤처 로드 뮤지컬'. 그러니까 이것저것 다 떼고 한 마디로 말 하자면, 비극이 아니라 희극이라는 말이다.


    뮤지컬 기발한 자살여행

    뮤지컬 기발한 자살여행



















    물론 어느정도 예상을 하기는 했다. 이런 대형 뮤지컬에서, 그것도 소재가 자살인 공연이 비극으로 끝나지는 않으리라는 것을. 하지만 그렇다해도 이 뮤지컬의 스토리라인은 좀 많이 손 볼 필요가 있겠다 싶을 정도로 어설픈 해피엔딩으로 급 마감 해 버린다. 공연시간이 좀 늘어나더라도 좀 더 등장인물들간의 개연성과 상호보완적인 이야기들을 끌어 맞춰서, 좀 더 자연스러운 결말을 만들었으면 좋았을 텐데라는 안타까움 때문에 뒷끝이 씁쓸했다.

    사실 우리나라에서 자살을 다루는 방식은 대체로 그런 식이다. 아주 단편적으로 구렁이 담 넘어가듯 은근슬쩍 넘기며 얼버무려 버린다. 뻔하지 않은가, 자살을 생각 할 정도로 절망적인 상황의 주인공이, (그놈의) 사랑타령 한 바탕으로 다시 삶의 희망을 찾아서 기쁘게 살게 된다는 그런 내용들.

    언제나 자살을 극복할 수 있는 어떤 것이고, 즉흥적인 그릇된 판단이었고, 나약한 자의 상징 정도로 치부된다. 자살이라는 말이 나오면, 어떤 수식어와 이유와 예제들이 나열되더라도, 결국 조언이라고 나오는 말은 '닥치고 그냥 살아라, 남들도 다 그렇게 산다' 정도일 뿐이다.

    그런데 다른 나라라면 모르겠는데, 우리나라에서 그런 식으로 자살 문제를 접근하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일까. 우리나라가 어떤 나라인가. 한 시간에 한 명씩 자살로 생을 마감하는, OECD 국가들 중 자살율 1위를 자랑하는 대한민국아닌가. 이런 상황에서 제대로 된 연구는 고사하고, 조금 깊이 생각해 볼 꺼리나, 대화조차 불가능한 현실. 그저 개인적인 문제로 밀어내고 쉬쉬하는 분위기. 정말 안타까운 일이다.



    어쩌면 삶의 희망이나 보람, 살아가는 낙이라는 것은, 아주 사소하고도 평범한 어떤 일에서 찾을 수 있는 건지도 모른다. 동명의 소설을 영화로 만들어 최근에 개봉한 '용의자 x의 헌신'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고등학교 수학선생을 하면서 수학에만 빠져서 혼자 외로운 삶을 살고 있던 주인공은 어느날 자살을 시도한다. 조그맣고 어두운 구석방에서 목을 매려는 순간, 거의 울릴 일 없는 현관의 벨이 울린다. 옆집에 이사 온 모녀가 인사를 하러 온 것이다. 그런 사소한 일로 자살을 멈춘 이후, 그는 오손도손 즐겁게 살아가는 모녀의 모습에, 사람 사는 소리에 그럭저럭 다시 삶을 이어 나가게 된다.

    물론 이 침울한 수학선생의 자살에 얽힌 사연이 전체 이야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아니다. 살인사건을 놓고 펼쳐지는 용의자와 수사관의 치열한 두뇌싸움이 핵심 내용이니까. 하지만 사건의 발단이 바로 그 자살사건부터라고 볼 수 있으니까, 이 이야기도 어느정도 자살과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목을 메려다 말고, 느닷없이 울리는 벨 소리에 어성어성 현관문으로 걸어나와 모녀를 맞이하는 장면. 그리고 그 이후, 모녀가 살아가는 모습과 소리들을 벽 너머로 넘겨보면서 희미한 미소를 띄우는 그 모습. '아, 정말 외로웠구나, 그런 사소한 기쁨에도 삶의 희망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힘들었던 거구나.'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던 그 짧은 장면들.


    소설 용의자 X의 헌신

    소설 용의자 X의 헌신

    영화 용의자 X의 헌신

    영화 용의자 X의 헌신



















    그러니까 이 영화(혹은 소설)에서처럼, 한 사람의 자살예정자를 다시 살게 만드는 것은 생각보다 쉬울 수도 있다. 문제는 그것을 밖으로 꺼내 놓고 공론화하지 않는다는 것 아닐까. 쉬쉬하고 피하며 언급하는 것 만으로도 끔찍한 병이 옮을 것처럼 꺼려하는 그런 분위기가 오히려 자살을 더욱 부추기는 것은 아닐까. 

    불치병도 고치려고 연구하고 노력하는 마당에, 자살이라는 문제에 대해서는 왜 그리 소극적인지 (그렇다고 자살이 고쳐야 할 어떤 병이라는 말은 아니다). 자살에 대해, 죽음에 대해, 좀 더 자연스럽고도 깊이를 더해가며 생각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었으면 좋겠다. 소설이든 영화든, 그런 대중매체들도 좀 더 적극적으로 자살 문제를 좀 파고 들었으면 좋겠고. 그렇게 이야기들이 오고 가다보면, 그 속에서 뭔가가 보일 수도 있지 않은가.



    그러니까 이번 기회에(마침 이런 작품들이 나온 때를 틈 타서), 삶과 죽음, 특히 자살에 대해 조금 깊이 생각을 해 보는 것은 어떨까. 사춘기 때 어설프게 삶과 죽음의 문제에 대해 나름 고민한 것을 끝으로, 그 후엔 진지하게 그런 것 생각해 볼 시간도, 여유도, 분위기도 마련되지 않았으니까 말이다. 굳이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이 아니라도, 나와 내 주위에 그런 위기가 닥칠지도 모를 일이니까.

    자살에 대해 조금 깊이 생각을 가져 볼 생각이 있는 분들은, 유명하고 대단하신 분들의 글들이 모여있는, '어느 쓸쓸한 날의 선택, 자살'이라는 책을 권해 드린다.
     

    어느 쓸쓸한 날의 선택, 자살

    어느 쓸쓸한 날의 선택, 자살




    p.s.


    뮤지컬 '기발한 자살여행'. 공연장 시설도 괜찮은 편이었다. 살아있으면 이런 것도 볼 수 있다. ㅡㅅㅡ;;;

    댓글

Copyright EMPTYDREAM All rights reserved /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