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
SKT, LTE 스마트폰에서 데이터 차단 서비스 불가 - 요금 폭탄 맞아라?웹툰일기/2011~ 2015. 12. 18. 10:40
최근에야 알게 됐다. SKT에서 LTE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데이터 무선 인터넷 차단" 서비스를 해 주지 않는다는 사실. KT와 LGT는 엄연히 해주고 있는데도. '무선 데이터 차단' 혹은 '무선인터넷 차단'으로 통신사마다 조금씩 다른 용어로 불리는 이 서비스는, 한 마디로 데이터 통신을 차단하는 서비스다. 3G나 LTE 등에서 데이터 사용을 아예 통신사 차원에서 막아주는 것. 주로 1만 원짜리 '표준요금제'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이용하는 서비스인데, 표준요금제는 딱 전화기 유지하는 월 요금만 내고 나머지는 쓴 만큼만 내는 요금제다. 옛날에 2G폰 사용했던 사람들은 잘 알 거다. 이 요금제에서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면 엄청나게 비싼 요금이 청구되므로 데이터는 아예 막아놓는다. 3G에서는 이통사 모두가 데이터..
-
올레 홈와이파이 페이지 삭제, 다시 보지 않기IT 2015. 11. 26. 14:50
언젠가부터 갑자기 '올레 홈 와이파이' 페이지가 뜨기 시작했다. 이전에 전혀 들어가본 적도 없고, 광고나 링크를 클릭한 적도 없는데, 인터넷 서핑 할 때면 틈틈이 갑자기 이 페이지가 뜨기 시작했다. 알아보니 KT에서 강제로 띄우는 페이지라고 한다. 단지 자기들 망이나 KT 인터넷을 사용한다는 이유만으로. 이게 말이 되나, 최소한의 동의도 없이 수시로 지속적으로 강제로 이런 페이지를 자기들 맘대로 띄운다는 게. 컨텐츠가 좋건 나쁘건 상관없이, 이건 그냥 피싱 사이트일 뿐이다. 그나마 다시 보지 않게 하기는 비교적 간단한데, 이것도 알면 쉽지만, 모르는 사람은 알 수 없게 숨겨놨다. '올레 홈와이파이 페이지'가 뜰 때마다 뒤로가기나 닫기를 클릭했었다. 이 페이지를 그냥 귀찮은 스팸 혹은 피싱 사이트 정도로 ..
-
데이터 기본권 = 정보 기본권, 전 국민에게 핸드폰 기본 데이터를 보장하라웹툰일기/2011~ 2015. 7. 1. 13:50
지난 6월 8일, 정의당 주최로 시민단체와 미래부 관계자들이 모여 통신비 인하를 주제로 한 토론회가 열렸다. '통신비 인하, 휴대폰 데이터 요금 공공성 확대를 위한 토론회'라는 제목으로 열린 이 행사에서는 주목할만 한 주장들이 있었다. * 통신요금에 포함되어 소비자가 무조건 내게 돼 있는 1만원 정도의 '기본요금'을 폐지해야 한다. * 전국민에게 일정량의 무료 데이터를 제공하라. 심상정 정의당 원내대표는 "단통법 시행 이후 통신3사의 영업이익률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며 " 최근 데이터요금제의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기업들의 담합에 의한 꼼수로 소비자들이 우롱당하고 있는 만큼 기본요금제 폐지 등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새누리vs새정치 '통신비' 정책경쟁..정의당도 합류, 머니투데이)..
-
미래부, 통신요금 인가제 폐지 - 담합이 우려돼서 독점 방지책을 없애겠다?웹툰일기/2011~ 2015. 6. 30. 16:52
'통신요금인가제'는 시장 지배적 사업자가 요금 출시를 할 때, 먼저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심사를 거치는 규정이다. 즉, 시장에서 독보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는 회사들이 마음대로 요금제를 정하지 못하도록 정부가 규제를 하자는 취지에서 도입된 것이었다. 현재 유선전화 쪽에서는 kt, 무선전화(이동통신) 쪽에서는 skt 가 대상이다. 근 20 여년간 이 제도를 시행돼 온 이 제도가 이제 사라지게 됐다. 미래부에서 요금인가제 폐지를 공식 발표했기 때문이다. 인가제를 폐지하고 신고제로 하겠다고. 미래부 말은, 인가제를 하는 바람에 1위 기업이 요금제 심사를 받는 동안 2, 3위 기업들이 기다렸다가 비슷한 요금제를 비슷한 가격에 출시한다는 것. 그래서 이게 사실상 담합을 조장하고 있어서 문제라며 폐지한다는 입장이..
-
미국 이통사,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말 장난 쳤다가 1천억 원 벌금웹툰일기/2011~ 2015. 6. 19. 14:55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가 2위 이동통신사라고 하는 AT&T에 벌금 1억 달러(약 1천억 원)를 부과했다.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라고 팔아놓고는 일정 용량을 초과하면 데이터 통신 속도를 느리게 했다는 이유다. 그것과 관련해서 소비자들의 끊임없는 민원이 몇 년간 계속해서 제기됐다 한다. 무제한(unlimited)이라는 말에 맞지 않는 서비스를 제공했다는 것 외에도,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는 정보투명성 등 여러 조항 위반을 내세운 것 같은데, at&t 가 하는 말을 들어보면 자기들은 나름대로 할 만큼은 했다. 다른 업체도 이렇게 하고 있다 하고, 나름 소비자들에게 알리기도 했다는 것. 아마도 국내 통신사들 처럼 약관 어느 구석에 깨알 같은 글씨로 써 놨겠지. 톰 휠러 FCC 의장은 이날 성명에서 "무제한..
-
단통법 시행, 아이폰6을 산다면? - 애플스토어보다 비싼 아이폰 출고가IT 2014. 10. 6. 07:04
단통법(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이 시행됐다. 통신사마다 핸드폰(스마트폰)의 출고가가 얼마인지, 지원금은 얼마인지 홈페이지에 공시하게 됐다. 그런데 그 페이지들을 둘러보다가 눈에 띄는 것이 하나 있었다. 바로 아이폰에 관한 것. 결론을 먼저 말하자면 아이폰 6을 기다리고 있는 사람들은, 한국 출시 하자마자 이통사 대리점 달려가지 말고 잘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는 거다. 자 일단 아이폰 5s (iPhone 5s) 공식 가격을 한 번 보자. 위 그림은 애플 코리아 공식 홈페이지에서 캡처한 아이폰 5s 가격이다. 그림에 보이듯, 아이폰5s, 16GB 가격이 73만 원이다. 73만 원 기억하고 다음을 보자. 위의 표는 SK텔레콤 공식 홈페이지의 휴대폰 지원금 공시 페이지에서 캡처한 아이폰 5s 가격이다. ..
-
스마트폰으로 표준요금제 사용시, 통신사별 와이파이 WiFi 유무료 현황웹툰일기/2011~ 2013. 8. 6. 16:46
스마트폰으로도 월 11,000원 짜리 표준요금제를 사용할 수 있다. 아래글 참고. 스마트폰도 표준요금제(11,000원) 사용할 수 있음 이때, 표준요금제는 통화 용도의 기본요금만 내는 것이므로, 3G 같은 데이터 통신을 할 수가 없다. 물론, 해도 되긴 하는데, 엄청나게 비싼 요금으로 요금폭탄 맞으므로, 아예 안 하는 게 정신 건강상 좋다. 3G나 LTE를 끊어도, 스마트폰이므로 와이파이(WiFi)가 가능한데, 여기서 각 통신사별로 정책이 조금씩 다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가난뱅이에겐 SKT가 갑이다. SKT는 월 기본요금 11,000원만 내도 지하철, 길거리 등에서 T WiFi Zone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KT는 자사 와이파이인 올레 와이파이 olleh WiFi를 이용하려해도 월 8천 원 정도..
-
아이패드 어디서 살까, 애플스토어? KT? (요금, 가격 비교)IT 2010. 12. 13. 13:31
아이패드를 갖고 싶지만 비싸서 선뜻 지르지 못하고, 벼르고 또 벼르는 중. 어쨌든 조금이라도 싸게 사는 것이 좋으니까, 나름 고민하고 비교해 보던 것을 한 번 정리해 보려 한다. 혹시나 비슷한 고민을 하는 분들이 있다면 도움이 되길 바라고, 글 중에 모르는 부분이 있다면 질문 하지 말고 검색 하기 바란다. 최근 갤럭시탭에 대해서도 몇몇 문의가 들어왔다. 하지만 갤럭시탭은 공짜로 준다면 가지고 다니겠지만, 내 돈 내고 살 생각은 전혀 없기 때문에 아예 고려하지 않는다. ● 애플스토어 iPad WiFi 모델 구입 ● KT에서 iPad 3G 모델 + 요금제로 구입 ● 애플스토어 iPad 3G 모델 + KT 데이터 쉐어링 ● 애플스토어 iPad 3G 모델 + SKT 데이터 쉐어링 ● 가난한 자의 대안? K-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