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
호주 워홀 나이제한 35세 상향, 호주대사관 "그런거 없다"해외소식 2017. 7. 7. 22:41
호주 워홀 나이제한이 30세에서 35세로 상향되었다는 뉴스들이 인터넷을 떠들썩하게 장식했다. 만 나이로 따지기 때문에 나이제한이 상향된다면 들뜬 마음에 고민 좀 하려고 하는 사람들도 있을 테다. 그런데, 결론만 우선 말하자면, 2017년 7월 7일 현재, 호주 이민성에서는 아직 나이제한이 상향되었다는 소식이 없고, 기존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호주 워킹홀리데이 35세 상향조정, 뻥이요~! 한국 언론이 위 이미지 처럼 연령 상한제한을 보도했지만, 정작 오스트레일리아 이민성(Department of Immigarion and Border Protection)에서는 기존과 변함 없는 안내를 해주고 있다. 위 화면은 호주 이민성 워킹 홀리데이 비자 안내 페이지 캡처다. 'at least 18 but not ye..
-
러시아의 미국 대선 해킹 개입 의혹 관련 정리, 사건일지잡다구리 2017. 1. 12. 21:52
2016년 미국 대선에 러시아 해커가 개입했다는 뉴스가 터져나왔다. 이미 공식 보고서도 나오고 해서 오바마가 퇴임 전에 러시아 외교관들을 내쫓는 강수를 두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서 유럽 쪽도 각종 선거를 앞두고 러시아의 해킹이 개입되지나 않을까 고민하고 있는 모습이다. 사실 한국은 이 사건에 크게 관심을 두고 있지 않은 분위기다. 최씨 일가의 국정농단 사건에 관련된 뉴스가 하루에도 수십개씩 쏟아져서, 이것만 해도 뉴스 따라가기가 벅찰 지경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도 대선을 앞두고 있는 마당에, 이런 외력에 의한 국내 정치 개입을 어느 정도는 염두에 두어야 한다. 따라서 러시아의 미국 대선 개입 의혹 사건을 간단하게 한 번 짚어보자. 2015-2016 미국 민주당 전국위원회 서버 해킹 2015년과 201..
-
올보르 답사 투어 - 사건이 일어난 곳들 여행해외소식 2017. 1. 6. 13:16
덴마크 올보르(Aalborg) 성지순례(?) 투어를 떠나보자. 이런저런 말을 덧붙이는 것보다 그냥 따라가보면 어떤 투어인지 알 수 있다. 이번 투어를 통해서 덴마크의 생활을 알아보고 전 지구가 하나임을 깨닫는 세계시민으로써의 아름다운 공동체 의식을 가져보고, 그 저 그게 저거 저거하면 이거 이렇게 해서 아니면 다죽어 블라블라 덴마크 올보르 어느 좋은 집 말 그대로 덴마크 올보르에 있는 어느 좋은 집이다. 아하 덴마크의 좋은 집은 이렇게 생겼구나 구경할 수 있다. 한적한 동네지만 사실은 올보르 공항에서 가깝고, 근처에는 동물원도 있다. 주의할 점은 덴마크는 사유지 침입 시 경찰에 체포될 수도 있다 한다. 특히 이 집은 덴마크 경찰이 특별히(?) 사유지 침입하지 말라고 엄포를 놓았다고 하니, 인도를 벗어나 ..
-
팩트 체크: 문재인, 이재명 대통령 되면 미군 철수? - 앞뒤 맥락 다 자르고 중간 가정 생략잡다구리 2016. 12. 29. 12:17
어제(12월 28일) 국내 몇몇 언론들이 "문재인, 이재명 대통령 되면 미군 철수할 수도"라는 제목으로 기사를 올렸다. 얼핏 보면 유명한 외신이 한국과 미국의 관계를 깊이 있게 조명하고 분석한 것 처럼 보인다 (물론 아니다). > [단독] "문재인· 이재명 대통령 되면 주한미군 철수 가능성" (세계일보) > "문재인·이재명 한국 대통령 되면 트럼프와 충돌, 미군 철수 가능성" (조선일보) > FP "문재인·이재명이 대통령 되면 주한미군 철수 시나리오도 가능" (중앙일보) > 美전문가 "문재인·이재명 집권시 미군 철수하게 놔둘수도" (연합뉴스TV) 원문은 트럼프의 대 아시아 정책에 대한 우려 소스는 미국의 외교 전문지 포린 폴리시(FP)의 한 기사였다. '트럼프의 아시아 피벗(중심축)(Donald Trum..
-
한국의 가짜 뉴스 - 진짜와 가짜가 뒤섞인 세상, 마음에 안 들면 법적 처벌 운운잡다구리 2016. 12. 28. 15:44
한국에도 이미 가짜 뉴스가 존재한다. 평상시에도 늘 어디선가 생산되고 돌아다니며, 사건이 터지면 널리 퍼지는 것들도 있다. 특히 선거 기간 중에는 수많은 가짜 뉴스들이 활개를 친다. 지난 미국 대선에서 활약(?)한 가짜 뉴스들과는 다르게, 한국은 주로 메신저를 통해 전파된다. 또한 뭔가 그럴듯하게 만들어진 웹페이지가 없더라도, 그냥 메신저에 써 붙인 글만으로도 상당히 널리 퍼진다. 이건 어쩌면 믿고싶은 것만 믿는 사람들이 그만큼 많다는 뜻도 될 테다. 가장 심각한 것은 카톡 찌라시 가장 심각한 것은 소위 '카톡 찌라시'라고 일컬어지는 가짜 뉴스들이다. 연예인 가쉽이나 사회 문제와 정치인 루머 등 떠도는 소식들은 정말 많다. 더군다나 카톡 찌라시가 선거 기간 중에는 꽤 큰 문제가 된다는 건 이미 널리 알려..
-
가짜 뉴스, 미국 대선 후 전세계 확산 - 우리도 트럼프를 가질 수 있다잡다구리 2016. 12. 27. 09:44
올해 미국에선 대선이 있었고, 지난 11월 8일 사실상 결과가 발표됐다. 결과는 다들 아시는대로 트럼프의 승리였다. 결과 발표 후, 시민들의 불복 시위도 있었고, 선거부정 의혹도 제기되어 일부는 수검표를 하기도 했다. 하지만 결과를 뒤집지는 못 했다. 그런데 한창 선거운동 중에는 미처 큰 문제로 인식하지 못 했던 것이 하나 있었다. 바로 '가짜 뉴스 (fake news)' 문제였다. 미국에서는 선거운동 당시에도 크게 문제가 돼서, 힐러리 클린턴이 공개적으로 이 문제를 언급하기도 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이것을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지 못 했다. (11월 중순 쯤 한국 대통령이 사임했다는 가짜 뉴스가 한국에서도 잠시 퍼졌다. CNN 비슷한 이름을 하고 있지만 전혀 상관 없고, 자기들도 CNN과는 아무 상관 ..
-
MBN 뉴스8 김주하의 뉴스초점, 웹툰 컨텐츠 무단도용잡다구리 2016. 11. 21. 09:41
'MBN 뉴스 8'에서도 내 웹툰 컨텐츠를 무단도용 했다. 2016년 9월 9일 방영된 'MBN 뉴스8'에서 '김주하의 뉴스초점' 코너에서 내 웹툰을 장장 30초간 계속 화면에 내보냈다. 무단도용하는 주제에 저렇게 당당하게 오래 사용하다니 정말 어이가 없다. (MBN 뉴스, 주하의 9월 9일 뉴스초점 - '나'를 사랑합시다 웹툰 무단도용 화면) 해당 뉴스는 2016년 11월 21일 현재까지 어떠한 조치도 취해지지 않고 그대로 공개되고 있다. 대략 영상시작 후 6초부터 35초까지 계속해서 웹툰이 보인다. 배경으로만 까는 게 아니라, 그걸 메인 컨텐츠로 활용하면서 앵커가 막 설명도 한다. 메인 컨텐츠로 활용하는 그 중요한 소재가 무려 무단도용이다. 이래놓고 잘했다고 다음, 네이버 뉴스에도 송고해놨다. 아래 ..
-
지디넷코리아 웹툰 컨텐츠 무단도용잡다구리 2016. 11. 21. 09:14
2016년 9월 30일 '지디넷코리아 (zdnet korea)'가 기사 하나를 냈다. > 단통법 2년 "통신비 감소" vs "효과 없다" 내용 따위는 중요하지 않다. 어차피 남의 컨텐츠 무단도용 할 정도의 수준이니까. (지디넷코리아 기사 화면 제목 이미지) 이 기사에서 내 웹툰 컨텐츠를 무단도용 했다. 아는 사람들은 한 눈에 딱 봐도 알아볼 수 있는 내 그림이다. 만화 속에 www.emptydream.net 이라고 주소도 적혀 있는데 "출쳐 = 인터넷 커뮤니티"라고 적어놨다. 이 정도도 체크 안 하고 제대로 표기도 못 할 정도라면 글 내용도 볼 필요가 없다. 이래놓고 다음뉴스, 네이버뉴스에도 송고해놨다. 물론 다음, 네이버 기사에도 무단도용한 내 만화가 그대로 들어가있다. > 만화 컨텐츠 무단도용 지디넷..